12월 10일 보건연구사 준비를 해볼까 하는데 우선, 보건학 정리를 각챕터 별로 해보려고 한다. 병리학 강의를 하다가 겹치는 부분이 있는 만성감염병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만성감염병은 다양한 종류가 있겠지만 우선 결핵, 한센병, B형 간염, 후천성면역결핍증인 AIDS, 성매개감염병, 트리코마에 대한 정리이다. 우선, 만성감염병이라는 것은 감염병이기 때문에 병원체가 특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만성질환과 구분해서 알아둘 필요가 있다. 만성감염병은 발생률은 낮고, 유병률은 높다. 잠복기가 길고 증상이 천천히 나타난다. 쉽게 치료되지 않는다.
1. 만성감염병 결핵 : 튜벌쿨로시스, BCG검사, 코흐(독일)
만성감염병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결핵의 병원체는 튜벌쿨로시스이다. 결핵균의 특징은 건조한 환경, 알코올, 알칼리산 등 다 저항성을 나타내는데 열과 빛에는 약하다. 객담도말검사로 확진을 한다. 하지만 민감도가 50% 미만으로 낮은 단점이 있다. 인수공통감염병이다. 산소를 좋아하는 호기성균이다. 비말을 통해 감염이 된다. 20대, 도시, 남자, 건강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잘 걸린다. 국민병, 망국병, 사회적 질병, 소모병, 도시전염병이다. 호흡기계 만성감염병이다. 치료 중단 시 내성이 생길 수 있다. 튜베르쿨린 검사결과 음성이면 예방접종으로 생후 4주 이내 BCG (생균백신) 검사를 한다. 비말의 수분성분이 마르고 남은 비말핵 형태로 공기 중에 떠다니며 상당기간 공기매개전파를 일으킨다. 감염되면 10% 발병, 90%는 잠재감염이다. 조기발견이 어렵다. 대부분의 2차 전파는 치료 전에 이루어지고, 약물 치료하면 감염력 떨어진다.
2. 만성감염병 한센병: leprosy, 레프로민 검사, 한센(노르웨이)
중세유럽대유행으로 잠복기는 2-10일, 간접전파, 직접전파 둘 다 일으키고, 피부말초신경손상을 일으킨다. 환자발견 시 환자격리와 직접접촉자만 관리한다. 치료 후 감염력이 없어지면 사회생활에 제한이 필요 없다. 수직감염에 대한 것은 더 알아봐야겠다.
3. 후천성면역결핍증 (AIDS) : HPV, 엘라이자법, 웨스턴블롯법
HPV에 의해 감염이 된다. 환자와의 성접촉, 혈액, 세척기 등을 통해 감염된다. 합병증에는 주폐포자충, 폐렴, 식도칸디다증, 카포시육종이 있다. 우리나라는 2018년은 이성 간, 2019년부터 동성 간의 감염이 많아졌다. 합병증이 주 사망원인이다. 익명검사를 활용한다. 항 HIV병합요법은 전파력을 억제시킨다.
4. B형 간염, 성매개감염병, 트라코마
B형 간염은 수혈이나, 성접촉으로 감염되고 DNA바이러스로 사람이 유일하다. 성접촉, 수혈, 수직감염으로 전파된다. 일상적인 활동으로는 감염되지 않는다. 자연면역을 가지게 된다.
성매개감염병은 STD로 가장 큰 특징은 면역이 형성되지 않아 재감염이 된다는 점이다. 항생제 남용으로 내성이 생기고, 수직감염이 되기도 한다. 보균자 색출이 중요하다.
트라코마는 각막과 결막의 피부로 전파되는 급만성 감염병으로 세수수건같이 사용하면 옮을 수 있다.
'보건학 > 공중보건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역법, 검역감염병, 접촉자에 대한 감시 또는 격리기간 (최대잠복기간) (0) | 2024.12.22 |
---|---|
감염병 위기경보수준 : 관심(B), 주의(Y), 경계(O), 심각 (R) (0) | 2024.12.17 |
절족동물(절지동물)매개 감염병: 모기매개, 쥐매개, 진드기매개 감염병 (1) | 2024.12.16 |
호흡기계 감염병: 풍진, 수족구병, 브루셀라증 (0) | 2024.12.15 |
소화기계감염병 : 수인성 및 식품매개 감염병,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A형간염, 수인성 감염병 (1) | 2024.1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