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질병관리청장2

WHO 감시대상 감염병, 생물테러감염병, 법률상 인수공통감염병, 입원치료 감염병 감염병은 정말 내용이 많은 것 같다. 검역감염병, 법정감염병에 이어 세계보건기구 (WHO) 감시대상 감염병, 생물테러감염병, 법률상 인수공통감염병, 입원치료 감염병에 대해 정리하였다.  1. 세계보건기구 (WHO) 감시대상감염병 : 두폴신중콜폐황바웨세계보건기구(WHO) 감시대상 감염병은 총 9가지이다.두창, 폴리오, 신종인플루엔자,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콜레라, 폐렴형 페스트, 황열, 바이러스성 출혈열(마버그열, 라싸열, 에볼라열 등 ), 웨스트나일열SARS :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2. 생물테러감염병: 탄보페바에라두야생물테러감염병은 총 8가지이다. 고의 또는 테러 등을 목적으로 이용된 병원체에 의하여 발생된 감염병이다. 탄저, 보툴리눔독소증, 페스트, .. 2024. 12. 24.
검역법, 검역감염병, 접촉자에 대한 감시 또는 격리기간 (최대잠복기간) 검역에 관한 내용, 검역감염병의 종류, 검역감염병의 최대 잠복기간, 접촉자에 대한 감시 또는 격리기간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1. 검역의 정의해외에서 국내로 유입되는 감염병이나 해충을 막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외국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사람, 화물, 운송수단, 동식물, 축산물 등을 대상으로 시행국내로 입국하는 검역감염병 접촉자에 대해 격리격리기간은 해당 검역감염병의 최대 잠복기간 이내검역감염병은 외국에서 발생해서 우리나라로 들어올 우려가 있거나 우리나라에서 발생하여 외국으로 번질 우려가 있을 때 질병관리청장이 긴급 검역조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고시 감염병2. 중점검역관리지역중점검역관리지역이란 검역관리지역 중 유행하거나 유행할 우려가 있는 검역감염병이 치명적이고 감염력이 높아 집중적인 검역이 필요한 지역.. 2024. 12.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