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콜레라2 검역법, 검역감염병, 접촉자에 대한 감시 또는 격리기간 (최대잠복기간) 검역에 관한 내용, 검역감염병의 종류, 검역감염병의 최대 잠복기간, 접촉자에 대한 감시 또는 격리기간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1. 검역의 정의해외에서 국내로 유입되는 감염병이나 해충을 막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외국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사람, 화물, 운송수단, 동식물, 축산물 등을 대상으로 시행국내로 입국하는 검역감염병 접촉자에 대해 격리격리기간은 해당 검역감염병의 최대 잠복기간 이내검역감염병은 외국에서 발생해서 우리나라로 들어올 우려가 있거나 우리나라에서 발생하여 외국으로 번질 우려가 있을 때 질병관리청장이 긴급 검역조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고시 감염병2. 중점검역관리지역중점검역관리지역이란 검역관리지역 중 유행하거나 유행할 우려가 있는 검역감염병이 치명적이고 감염력이 높아 집중적인 검역이 필요한 지역.. 2024. 12. 22. 소화기계감염병 : 수인성 및 식품매개 감염병,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A형간염, 수인성 감염병 소화기계감염병에 대해 정리하였다. 우선 소화기계감염병 대표적인 10가지 외우고,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A형 간염, 수인성 감염병에 대해 정리하였다. 철저한 식음료 관리가 효과적 예방대책이 되는 감염병분변, 구강 경로를 통해 전파사망률은 대체로 낮고 2차 감염은 흔하지 않다.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으나 온도가 높을수록 병원체 활동이 활발연중 발생하지만 고온다습한 여름철에 많이 발생한다. 이환률, 치명률(사망률), 2차 감염률 낮다. 잠복기는 상대적으로, 호흡기계 감염병과 비교 시 잠복기 짧고, 우유(식중독) 비교 시 잠복기 길다. 잠복기 짧고 증상이 가장 심한 시기가 지난 후부터 균이 외부에 배출되어 격리효과가 높다. 환경 위생이 중요, 예방접종은 아님간접전파 (식품매개, 분변-경구로 간접.. 2024. 12. 1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