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본문 바로가기
보건학/공중보건학

검역법, 검역감염병, 접촉자에 대한 감시 또는 격리기간 (최대잠복기간)

by 나의 미니미 2024. 12. 22.
반응형

검역에 관한 내용, 검역감염병의 종류, 검역감염병의 최대 잠복기간, 접촉자에 대한 감시 또는 격리기간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1. 검역의 정의

  • 해외에서 국내로 유입되는 감염병이나 해충을 막을 수 있는 최선의 방법
  • 외국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사람, 화물, 운송수단, 동식물, 축산물 등을 대상으로 시행
  • 국내로 입국하는 검역감염병 접촉자에 대해 격리
  • 격리기간은 해당 검역감염병의 최대 잠복기간 이내
  • 검역감염병은 외국에서 발생해서 우리나라로 들어올 우려가 있거나 우리나라에서 발생하여 외국으로 번질 우려가 있을 때 질병관리청장이 긴급 검역조치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고시 감염병

2. 중점검역관리지역

  • 중점검역관리지역이란 검역관리지역 중 유행하거나 유행할 우려가 있는 검역감염병이 치명적이고 감염력이 높아 집중적인 검역이 필요한 지역
  • 질병관리청장이 검역전물위원회의 심의를 거저 지정한 지역

 

3. 검역감염병 종류 8가지 (격리기간, 최대잠복기간)

콜레라(5일), 페스트, 황열(6일),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ARS),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10일), 신종인플루엔자 (최대잠복기), 중동호흡기증후군 (MERS) (14일), 에볼라바이러스병 (21일), 그 외 질병관리청장이 인정하는 감염병 (최대잠복기)

  • 질병관리청장은 검역감염병 접촉자 또는 위험요인에 노출된 사람이 해외에서 입국할 경우 최대 잠복기까지 건강격리
  • 검역감염병 환자의 격리는 감염력 없어질 때까지
  • 격리기간이 지나면 즉시 해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