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보건학46

소화기계감염병 : 수인성 및 식품매개 감염병,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A형간염, 수인성 감염병 소화기계감염병에 대해 정리하였다. 우선 소화기계감염병 대표적인 10가지 외우고,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A형 간염, 수인성 감염병에 대해 정리하였다. 철저한 식음료 관리가 효과적 예방대책이 되는 감염병분변, 구강 경로를 통해 전파사망률은 대체로 낮고 2차 감염은 흔하지 않다. 계절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으나 온도가 높을수록 병원체 활동이 활발연중 발생하지만 고온다습한 여름철에 많이 발생한다. 이환률, 치명률(사망률), 2차 감염률 낮다. 잠복기는 상대적으로, 호흡기계 감염병과 비교 시 잠복기 짧고, 우유(식중독) 비교 시 잠복기 길다. 잠복기 짧고 증상이 가장 심한 시기가 지난 후부터 균이 외부에 배출되어 격리효과가 높다. 환경 위생이 중요, 예방접종은 아님간접전파 (식품매개, 분변-경구로 간접.. 2024. 12. 14.
보건연구사 만성감염병 정리 : 결핵, 한센병, B형간염,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성매개감염병, 트리코마 12월 10일 보건연구사 준비를 해볼까 하는데 우선, 보건학 정리를 각챕터 별로 해보려고 한다. 병리학 강의를 하다가 겹치는 부분이 있는 만성감염병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만성감염병은 다양한 종류가 있겠지만 우선 결핵, 한센병, B형 간염, 후천성면역결핍증인 AIDS, 성매개감염병, 트리코마에 대한 정리이다. 우선, 만성감염병이라는 것은 감염병이기 때문에 병원체가 특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만성질환과 구분해서 알아둘 필요가 있다. 만성감염병은 발생률은 낮고, 유병률은 높다. 잠복기가 길고 증상이 천천히 나타난다. 쉽게 치료되지 않는다.  1. 만성감염병 결핵 : 튜벌쿨로시스, BCG검사, 코흐(독일)만성감염병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결핵의 병원체는 튜벌쿨로시스이다. 결핵균의 특징은 건조한 환경, 알코올, 알칼리산.. 2024. 12. 10.
병리학 혈류역학, 혈류장애 : 혈액의 구성, 부종과 삼출, 충혈과 울혈, 쇼크 병리학 총론 중 하나인 혈류역학, 혈류장애에 대해 정리를 하였다. 혈액의 구성, 체액과 관련된 부종과 삼출, 혈액과 관련된 충혈과 울혈, 그리고 마지막으로 조직의 손상과 관련 있는 쇼크이다.  1. 혈액 : 구성, 기능, 혈장, 혈장단백질,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혈액은 물이 대부분인 혈장과 세포의 유형성분인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혈액은 성인몸무게의 7~-8%가 된다. 적혈구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한다. 혈장은 영양소, 호르몬과 대사산물을 운반한다. 또, 혈액은 체온과 혈압을 일정하게 조절한다. 백혈구는 침입자인 항원이 발견되면 항체를 준비하고 공격하여 우리 몸을 보호하는 방어의 역할을 한다. 이렇게 혈액은 운반,  조절, 방어의 역할을 담당하고 기능인체의 내부환경유지에 필요하.. 2024. 9. 14.
병리학 총론 만성염증 : 원인, 만성염증에 관여하는 세포, 육아종성염증 염증의 초기단계인 급성염증의 결과로는 완전용해, 기질화 그리고 만성염증이 있다. 급성염증이라도 지속적으로 손상이 되고 자극이 주어지면 만성염증이 된다. 이번 병리학 총론에서는 만성염증의 원인, 만성염증에 관여하는 세포, 육아종성염증에 대해 정리하였다.  1. 병리학 총론 만성염증의 원인만성염증은 염증, 조직손상, 수복이 공존하는 과정이다. 만성염증의 원인으로는 지속적인 감염과 독성물질 노출 등 지속적인 외부자극이 원인이다. 또한 류마티스와 같은 과민성 질환처럼 면역반응을 일으켜 만성 염증과 조직의 손상을 야기한다.  2. 만성염증에 관여하는 세포 : 단핵구, 림프구, 대식세포, 형질세포, 호염구, 호산구, 호중구, 비만세포 만성염증에 관여하는 세포로는 단핵구, 림프구, 대식세포, 형질세포가 주를 이루고 .. 2024. 9. 8.
병리학 급성염증 : 침입물질 인지, 백혈구의 활성(변연화, 구르기, 부착) 이번 병리학 포스팅은 염증의 초기반응인 급성염증에 대해 정리하였다. 급성염증은 침입물질의 인지, 혈관직경 변화 등 혈관반응, 백혈구의 활성단계, 염증매개체에 의해 조절되고 반응과정에서 5가지의 증상이 나타난다.  1. 급성염증의 시작 : 침입물질의 인지감염이 되면 우리 몸은 침입물질 인지를 시작하면서 염증반응이 일어난다. 인지에는 크게 미생물에 대한 세포수용체, 세포손상감지기, 순환단백질 3가지가 관여한다. 우리 몸은 외부물질 침입을 주변에 알리는데 세포수용체는 백혈구 등에 존재한다.  2. 급성염증 혈관반응: 혈관직경변 (혈류변화). 미세혈관의 투과성 변화, 림프관, 림프절 변화첫 번째로 혈관직경변화로는 세동맥을 확장시키는 히스타민이 작용한다. 이후 혈관이 늘어나면서 혈류가 느려지고 혈액점성이 증가하여.. 2024. 9. 7.
병리학 : 염증의 정의, 염증반응 구성원, 염증반응 과정, 염증의 원인 병리학 총론 중 염증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염증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염증의 정의와 염증반응의 주요 구성원, 염증반응의 과정 그리고 마지막으로 염증의 원인으로 마무리하겠다. 그리고 다음 포스팅에서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염증의 정의염증은 의학용어로 inflammation이라고 한다. 염증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부정적이고 나쁜 이미지가 떠오르기 쉽지만, 염증은 생체의 방어기전이다. 즉, 손상되고 감염된 조직을 정상의 상태로 돌리려는 기전으로 생존에 필수적이라는 말이다. 염증의 4대 징후라고 하면 1세기 센서스에 의해 정리된 발적, 열감, 부종, 통증이 있다. 이후에 병리학 하면 꼭 기억해야 하는 인물 중 한 명인 루돌프비르효가 기능상실을 주장해 염증의.. 2024. 9. 6.
세포의 구조와 기능 : 세포막, 세포질,세포소기관 (리보솜, 사립체, 세포질그물) , 핵 이번 시간에는 세포막, 세포질, 핵으로 이루어진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세포막을 이루고 있는 것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세포질에서는 특히 세포소기관에 있는 리보솜, 사립체, 세포질 그물중심으로 알아보고 핵의 기본구조인 핵막, 핵소체, 염색질에 대해 정리를 해보았다.  1. 세포막의 주된 성분: 지질, 단백질, 탄수화묵세포막의 주된 성분은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이다. 첫 번째 막지질의 경우 인지질, 콜레스테롤이 있고, 막단백질은 내재성 단백질과 표재성 단백질로 나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탄수화물이 있다. 지질 : 인지질, 콜레스테롤단백질: 내재성 단백질, 표재성 단백질탄수화물 2. 세포질, 세포소기관 : 세포질그물, 리보솜, 골지체, 사립체, 용해소체, 과산화소체, 섬모 및 편모, 미세.. 2024. 9. 4.
세포적응과 세포손상 : 비대, 증식, 위축, 화생, 괴사, 세포자멸사 세포는 인체의 최소단위이다. 이번시간에는 세포적응에 해당하는 비대, 증식, 위축, 화생과 세포손상에 해당하는 괴사와 세포자멸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1. 세포적응 (adaptation) : 비대, 증식, 위축, 화생세포적응은 영어로 adaptation이라고 한다. 세포적응은 세포가 자극을 받더라도 세포손상에 비해 비교적 안정된 상태이다. 세포적응으로는 비대, 증식, 위축, 화생 4가지가 있다. 비대는 세포의 크기가 증가하고, 증식은 세포의 수증가, 위축은 크기와 수 모두 감소, 화생은 다른 형태로 바뀌는 것이다. 비대 : 세포의 크기 증가증식: 세포 수의 증가위축: 세포 크기, 수 감소화생:다른 형태의 성숙세포로 대체2. 세포손상 (cell injury): 가역적 세포손상, 비가역적 세포손상세포손상.. 2024. 9. 4.
임신 (pregnancy)과 출산 (childbirth)에 관한 의학용어 여성의 몸은 신비롭다. 난자를 생성하고, 정자와 만나 자궁관에서 수정을 하고, 자궁에서 수정된 난자를 착상시켜 태아가 성장하는 곳이다. 8주 미만은 배아 (embryo)라고 하고, 8주 이상부터는 태아 (fetus)라고 한다. 이번 시간에는 임신과 출산과 관련된 해부생리학적 의학용어와 증상, 진단, 수술처치 의학용어에 대해 정리하였다. 1. 임신 (pregnancy), 출산 (childbirth) 해부생리학적 의학용어 Medical Term Meaning ovum 난자 sperm 1. 정자 2. 정액 fertilized ovum 수정난자 morula 오디배 blastocyst 주머니배 embryo 1. 배아 2. 배 fetus 태아 fertilization 수정 implantation 1. 착상 2. 이.. 2022. 8. 22.
대뇌 (cerebrum)의 구성 및 기능: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 4개의 엽 (lobe) 1. 대뇌 (cerebrum) 대뇌 (cerebrum)는 좌우 한쌍의 반구로 이루어져 있는 덩어리로 뇌의 대부분 (85%)을 차지하며 뇌의 가장 큰 부분이기도 합니다. 대뇌는 정신기능의 중추이면서, 고차원 사고와 행동을 결정합니다. 대뇌반구 (cerebral hemisphere)는 난원형 뇌의 덩어리로 대뇌를 구성합니다. 대뇌 반구의 표면에 존재하는 얇은 회색질 증인 대뇌피질 (cerebral cortex)은 사람이 살아 가는데 필요한 많은 기능들이 모여있는 곳으로 인간에게 잘 발달되어있습니다. 예를 들면 정신, 운동, 내장 기능 등이 대뇌피질에 있습니다. 대뇌는 대뇌피질을 부위에 따라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으로 기능이 다른 4개의 엽(lobe)으로 나뉩니다. 2. 전두엽 (frontal lo.. 2022. 6. 20.
반응형